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경기도 남양주시] 카페 바라보다

728x170

카페 바라보다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cafe.baraboda/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로 566-3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에 있는 카페이다. 지금은 기차가 다니지 않는 폐역인 능내역 바로 앞에 있다. 1층과 2층, 야외에 좌석이 있다. 실내는 화이트와 그레이 톤 분위기에 바닥은 우드 톤이다. 2층 통창으로 능내역이 바로 보인다. 시즌 메뉴는 유유빙수, 시그니처 메뉴는 카페라떼, 에스프레소, 아이스티 피치 블로썸 등이 있다. 더치 커피로 더치 커피, 돌체 라떼가 있고, 비 커피류로 미숫가루, 에이드 스무디 등과, 페퍼민트 등 티 종류도 있다. 디저트로는 케이크, 쿠키 등이 있다. 가까이에 다산 정약용 생가, 다산생태공원이 있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캐모마일 릴렉서

- 문의및안내
031-576-0007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어린이놀이방여부
0

- 영업시간
월요일~금요일 11:00~19:00
토요일 11:00~21:00
일요일 11:00~19:00

- 주차시설
있음(무료)

- 취급메뉴
캐모마일 릴렉서/ 바다크림라떼 / 리얼스퀴즈 자몽주스 / 레드패션 에이드 / 블루펜지 에이드 외





◎ 화장실
있음





경기도_남양주시_카페바라보다_외부측면경기도_남양주시_카페바라보다_음식경기도_남양주시_카페바라보다_계단식좌석경기도_남양주시_카페바라보다_내부메인홀



◎ 주위 관광 정보

⊙ 다산유적지(남양주)


- 홈페이지
http://nyj.go.kr/culture/223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1 (조안면)

* 다산 정약용의 마지막 길, 마재(마현부락)의 다산유적지 *

양수리에서 팔당댐 방향으로 약 3km 거리에 위치한 마재(마현부락)는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산소가 위치해 있으며, 아울러 다산 정약용을 비롯한 4형제의 생가터가 있는 곳이다. 마재는 그 모양이 혹처럼 불쑥 튀어나와 있어 마치 한강물을 지키는 파수꾼 같다. 마재에서 200m거리에 있는 다산유적지에는 사당과 기념관, 생가터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언덕 위에는 다산의 묘소가 있다. 이 묘소에서 내려다보면 마을과 한강을 넘어 천진암이 있는 앵자봉 계곡이 펼쳐져 있다. 마재에서는 또한 천진암 앵자봉 능선을 멀리 바라다 볼 수 있다. 그리고 지척에 천주교회의 큰 초석이 된 권철신 5형제의 집터가 있는 양근 대감 마을도 있다.

* 신앙과 유배, 실학 사상으로 정리되는 다산의 삶 *

다산 정약용은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로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또한, 약현의 사위가 황사영, 이들 형제의 누이가 최초의 세례자 이승훈의 부인이라는 것을 보면 정씨 형제가 얼마나 천주교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들 중 정다산은 그의 형 약종처럼 순교하지는 않았으나 천수를 다하면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심서" 등 수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는 본래 요한이라는 세례명을 받고 10여 년간 열심히 신앙 생활을 했고, 신유박해(1801년) 때 배교함으로써 죽음을 면하고 전남 강진으로 유배를 갔다. 실학을 집대성한 5백여 권의 주옥 같은 저서는 바로 이 무렵 18년간의 유배 생활 동안 쓰여진 것이다. 유배 생활을 끝내고 다시 이곳 마재로 돌아온 그는 보속하는 뜻에서 기도와 고행의 삶을 살다 중국인 유방제 신부에게 병자 성사를 받고 7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 다산기념관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1

다산 유적지에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가와 묘, 기념관이 있다.
시대를 앞서간 선구자의 업적과 자취가 전시된 기념관에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발명한 거중기와 농로를 비롯해, 선생의 친필 서찰, 산수도,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총 59종 308여점의 물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나라의 부패를 꾸짖던 선생의 쩌렁쩌렁한 목소리와 꼿꼿하고 검소한 그의 생활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생가 여유당, 이백 년 세월의 흐름 앞에 절로 고개 숙여지는 정약용 선생의 묘, 정약용 선생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해 보는 문화관이 있다.

⊙ 정약용선생묘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1 (조안면)

* 조선 최고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묘 *

1972년 5월 4일 경기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능내리에 정약용을 모신 유택인 여유당(與猶堂)과 함께 공원으로 조성되었다.묘는 부인 풍산홍씨와 합장한 원형의 묘로 남향하고 있고, 묘 앞에는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을 갖춘 비가 있다. 비신에는 2열로 ‘문도공다산정약용 숙부인풍산홍씨 지묘(文度公茶山丁若鏞 淑夫人豊山洪氏 之墓)’라고 씌어 있다. 비좌는 높이 31.5㎝, 너비 129㎝, 두께 90㎝이며, 비신은 높이 179㎝, 너비 69.5㎝, 두께 34.2㎝이고, 옥개석은 높이 62㎝, 너비 119㎝, 두께 81㎝이다. 묘역 앞에는 1959년에 세운 묘비 2기와 자연석에 여유당이라 쓴 비가 서 있다.

* 다산 정약용 선생에 대하여 *

다산 정약용은 조선후기의 대학자로서 1762년(영조38) 현재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현마을에서 태어났다. 정약용은 어려서부터 이익의 학문을 접하였고, 이벽에세 서양서적을 얻어 읽기도 하여 실학과 서학적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였다. 1789년(정조 13)에 문과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으나 천주교인이라 하여 충청도 해미로 귀양갔다가 10일 만에 용서되어 풀려났다.또한, 거중기와 녹로(도르래)를 만들어 수원서을 쌓는 공정을 단축하는데 크게 고헌하였다. 그 후 경기도 암행어사를 거쳐 동부승지·병조참의가 되었으나 주문모 신부의 변복 잠입 사건이 터지자 형 정약전과 함께 이 사건에 관련되어 충청도 금정찰방으로 좌천되기도 했다. 1801년(준조 1)신유박해 때 경상북도 포항 장기로 유배된 뒤에 황사영백서사건이 일어나 이 해 10월 다시 전라남도 강진으로 옮겨졌다. 이 후 오랜 유배생활에 들어가며 조선사회의 현실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여러 사상과 학문을 검토하여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집대성하였다. 1818(준조 18) 유배생활에서 풀려난 후 마현마을 고향집으로 돌아와 저술생활로 평생을 보냈으며 1836년(현종 2) 75세로 생을 마쳤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18년의 유배기간 동안 경서학에 전념, 실학의 대가가되어 「목민심서 」48권, 「경세유표」49권, 「흠흠신거」30권 등을 쓰면서 정치·경제 등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고 500여 권의 방대한 책을 저술하였다. 능내리의 다산유적지에 있는 정약용의 묘(경기도 기념물)는 발치 아래를 감싸고 돌아 흐르는 두물머리를 물끄러미 바라보는 듯한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묘 앞에는 비석상과 상석, 그리고 자우에 망주석이 배열되어 있다. 봉분은 단분이며 숙부인 풍산 홍씨와의 합장묘이다. 문화관에서는 다산 정약용의 일대기를 담은 영상물을 상영하고 있으며 다산 관련 강연회와 학술발표회가 열리고 있다. 또한, 다산문화제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행사들이 사계절 내내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 실학박물관


- 홈페이지
https://silhak.ggcf.kr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실학박물관은 2009년 개관이래 실학 관련 유물과 자료를 수집/보존하며, 이를 연구/전시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실학 관련 박물관이다. 오로지 [실학]을 주제로 한 박물관답게 실학에 관한 모든 것을 배우고 익히고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으며, 1층 기획전시실을 비롯하여 2층의 1~3전시실에서는 눈길을 사로잡는 아름다운 영상과 함께 실학의 형성부터 전개까지 배울 수 있다.
실학자 정약용과 정약전에 관한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한 실학씨네마는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에게도 흥미로운 시간을 선사한다.
단순히 보기만 하는 박물관이 아닌 그야말로 보고, 듣고, 만져보는 오감을 충족할 만한 실학에 관한 모든 것이 있는 박물관이다. 전시실 관람을 마치면 1층에서 부채 만들기, 해 시계 팔찌 만들기, 탁본 체험도 할 수 있다.
전문 해설가의 설명을 들으면서 관람하는 정기 해설은 평일이나 주말, 별도의 예약 없이 시간에 맞춰 가기만 하면 된다. 정기 전시 외에도 반기별로 다양한 주제의 실학 관련 기획 전시도 열린다. 박물관 바로 옆에는 정약용유적지, 문학관, 기념관이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좋다.

⊙ 대가농원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daega620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61번길 15 (조안면)

대가농원은 교육과 체험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에듀팜이다. 화학비료와 농략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농산물을 정성껏 재배하며,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과정과 연계된 농작물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실제로 만지고, 보고, 느낄 수 있는 자연교육의 기회와 외갓집에 온 것 같은 훈훈한 정을 느낄 수 있다. 매년 1~3월 선착순에 한하여 유기농 주말농장도 운영한다.

⊙ 다산생태공원


- 홈페이지
남양주시 문화관광 https://www.nyj.go.kr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 767

다산생태공원은 생태·역사·문화가 어우러진 친환경적인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물환경 생태공원으로 다양한 초화가 조성되어 이용객이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수변공원이다. 또한 생태해설사가 있어 공원 내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과 한강을 사랑한 정약용 선생의 생애 이야기를 전해 들을 수 있다.

⊙ 두물머리 애벌레 생태학교


- 홈페이지
http://younhees.com

- 주소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두물머리길 108-22

* 곤충과 꽃, 진짜 자연을 만나는 곳, 두물머리 애벌레 생태학교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두물머리에 있는 생태학습장이다. 생태학교는 양평군 양수리 두물머리에 위치하며 49,587m²의 넓은 대지 위에 각종 야생화를 비롯한 초본류와 연꽃밭을 비롯한 수생식물, 느티나무숲 등의 나무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계절 언제라도 1,000여마리 이상의 나비들이 날아다니는 나비 생태하우스와 50여종 1,000 여 개체의 살아있는 곤충, 양서류, 파충류 등의 전시실에는 4계절 항상 살아있는 생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표본전시장에는 200여 표본 액자속에 1,000여종의 한국나비, 외국나비, 한국곤충, 외국곤충들이 전시되고 있다. 일년내내 각 분야 전문가 선생님들의 지도로 곤충, 동물, 야생화 숲 해설 , 별자리관측 등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애벌레생태학교 생태교육 프로그램 *
애벌레생태학교에서는 단지 애벌레의 생태를 체험하는 것이 아닌 농촌체험 및 농작물체험, 곤충체험, 나비체험 등 자연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