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김해시] 죽순농원
죽순농원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서부로 978-89
메인메뉴인 닭 통구이는 닭을 대나무 통에서 익혀내는 방법으로 고기의 잡내를 잡고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만들어낸다. 대나무 수액과 닭 육즙이 섞여 향과 맛이 일품이다. 그 외에도 닭백숙과 오리 백숙을 맛볼 수 있으며 대나무를 기르는 농원인 만큼 죽순이 들어간 된장찌개는 물론 죽순 전, 대나무 차, 대나무 통에 담겨 나온 대통 밥을 즐길 수 있다. 실내 인테리어도 대나무 위주로 꾸며져 있고 식사 후에는 영화 촬영지로도 사용된 울창한 대나무 숲을 직접 방문할 수 있어 산책코스로도 좋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대통구이
- 문의및안내
055-345-6356
- 쉬는날
연중무휴
- 영업시간
12:00~22:00
- 주차시설
가능
- 취급메뉴
오리불고기 / 닭백숙 / 옻닭 등
◎ 화장실
있음
◎ 주위 관광 정보
⊙ 용전숲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신월리
용전숲은 김해시 용전마을에 위치한 당산숲이다. 이곳은 마을 위쪽에 있는 용지봉이 용이 날아오르는 형상을 닮았다 하여 예로부터 명당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에게 매년 당산제를 지내는 마을의 숲은 성스러운 숲으로 여겨졌다. 용전숲에는 당산나무뿐만 아니라 느티나무 팽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내비게이션으로 이곳을 찾아갈 때는 운당도예 또는 용전숲 공중화장실로 찾으면 된다. 용전숲에는 마을에서 운영하는 야영장이 있으며, 여름에만 청소와 관리비 목적으로 유료로 운영된다. 숲 입구에 관리실, 화장실, 개수대가 있으며, 데크, 텐트 이용에 관한 알림판이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 김해탄소중립체험관
- 홈페이지
https://www.gimhae.go.kr/cce.web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로 33 (부곡동)
김해탄소중립체험관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한 전국 최초의 탄소 중립 테마 교육체험시설이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탄소 중립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조성된 공간이다.
기후 위기의 원인과 현상부터 탄소 중립의 이해와 실천 방법까지 다양한 체험 콘텐츠를 통해 모든 세대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내부에는 탄소 순환과 배출을 상징하는 미디어 큐브 영상, 기후재난 상황을 체험할 수 있는 쌍방향 실감 영상관 등 흥미로운 전시물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요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로봇과 함께하는 탄소의 균형 맞추기, 탄소 중립 실천 방법을 학습하는 동작 인식 게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녹색 발전소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체험 콘텐츠를 통해 관람객들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직접 체험하고 탄소 중립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는 곳이다.
⊙ 못난이가마솥순두부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ggswiri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월산로 162
김해 장유동에 있는 못난이가마솥순두부는 무쇠 가마솥에서 매일 순두부를 직접 만들어 깊은 맛이 있는 순두부 전문점이다. 고추기름을 사용하지 않아 느끼하지 않고 순두부 본연의 맛을 살려 부드럽고 얼큰한 맛이 일품이다. 대표 메뉴 못난이 돌솥 정식은 돌솥밥, 두부, 수육, 생선, 순두부, 기본 반찬 등이 한 상 가득 푸짐하게 나온다. 단품 메뉴로 김치 순두부와 해물 순두부를 선택할 수 있고 가마솥에서 바로 제공하는 가마솥 순두부도 있다. 100% 국내산 콩을 사용하여 믿을 수 있고 자극 없는 맛으로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근처 대청계곡이 있어 물놀이 후 함께 방문해도 좋다.
⊙ 딥밀
- 홈페이지
https://instagram.com/dipmill_official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로149번길 12
김해 장유에 있는 카페 딥밀은 공장 단지 사이에 있어 처음 방문하는 사람은 찾기 힘든 곳에 있다. 아이보리 컬러의 단층 건물이고 카페 내부는 모던한 인테리어와 심플한 가구들이 배치되어 있다. 카페 중앙에 선인장과 나무가 심겨 있어 이색적인 분위기가 있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1층으로 이루어진 딥밀은 한쪽 공간을 분리하여 노키즈 존으로 운영하고 있다. 오전, 오후에는 커피와 샌드위치, 빵 등을 먹을 수 있고 저녁이 되면 맥주와 칵테일, 간단한 안주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어 카페뿐 아니라 가볍게 맥주를 마실 수 있는 곳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10분 거리에 대청계곡도 있어 함께 방문하기 좋다.
⊙ 장유사(김해)
- 홈페이지
김해 관광포털 http://www.gimhae.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대청계곡길 170-563 (대청동)
우리나라에 불교가 최초로 전래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경내에는 우리나라 최초 불법을 전파했다고 전하는 장유화상의 사리탑이 있다. 장유암 근처에는 해발 801m의 불모산 용지봉 준령에서 흘러내리는 장유대청계곡과 수려한 자연경관이 펼쳐져 장유암을 찾는 이들에게 세상사 시름을 모두 잊게 하기에 충분하다. 사찰 내에는 사리탑이 있는데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의 처남인 장유(長游:본명 허보옥)의 사리를 봉안하고 있는 석조팔각사리탑(石造八角舍利塔)으로, 석탑의 크기는 높이 241㎝로, 팔각기단 위에 팔각의 탑신(塔身)과 옥개석(屋蓋石)을 올렸다.
⊙ 김해 양동리 고분군
- 홈페이지
https://www.gimhae.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산3
김해 양동리 고분군은 기원전 2세기대로부터 기원 5세기대에 걸쳐 형성된 고분군으로서, 발굴조사 결과 다양한 묘제와 수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가야 국가 형성기로부터 발전기의 역사적 사실을 한눈에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가곡부락 뒷산에 위치해 있으며, 전체규모는 약 3만 평으로 추정되며 김해에서는 가장 큰 규모이다. 이 고분군은 지하에 무덤이 중복된 상태로 조밀하게 설치되어 매우 복잡한 배치상태를 보여준다.
이 유적은 일찍부터 김해지역 중심고분유적의 하나로 주목받은 곳이다. 1984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 의해 처음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1990∼1996년간 동의대학교 박물관에 의하여 4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옹관묘 등 548기의 유구와 토기와 청동기, 철기 등 5,100여 점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확인된 유구는 묘제의 변천과정과 연대 규명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료이며, 출토된 각종 유물은 시기별 가야문화의 실상과 변화상을 한눈에 보여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연구에서 부족했던 많은 자료를 보완하여 국제성을 띤 가야문화의 세련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발굴성과를 통하여 가야사회의 문화와 국가·사회적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구야국(狗耶國) 또는 본가야(本伽倻)가 활발한 해상활동을 통하여 번성한 해양왕국(海洋王國)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2세기 후반에서 4세기까지가 가야철(伽倻鐵)의 전성기로서 해상활동도 가장 활발하여 외래문물도 해로를 통해 직접 유입되었던 가야시대의 번성기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철생산이 가야발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는 사실은 동시에 철시장의 상실로 인한 가치 하락이 가야쇠퇴의 직접적인 요인이 되었으며, 새롭게 부상한 신라나 백제의 압박으로 점차 쇠망하였다는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김해양동리고분군은 그 발굴성과를 통해 각 시기별 가야문물의 진수를 보여줄 뿐 아니라 낙동강 하류지역 가야사회의 성장과 그 국가적 성격을 밝히는 귀중한 유적이라 할 것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진례저수지
- 홈페이지
김해관광포털 https://www.gimhae.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평지길 239
진례저수지는 진례면 평지마을에 있는 저수지로 진례평지못 저수지로 불리기도 한다. 내비게이션에 ‘평지 저수지(김해)’를 치고 이용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이곳은 아랫마을 진례 들녘에 농업용수를 대려고 조성했으며 주민들의 요구로 저수지 주변에 1.5㎞ 둘레길이 조성되었다. 맑고 푸른 저수지를 끼고도는 둘레길엔 데크와 쉼터가 있다. 둘레길 끝에서 신안저수지를 연결하는 길을 한 바퀴 돌면 4.5㎞를 걷는다. 1시간 30분이면 왕복할 수 있다. 평지에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어 어린이와 유모차를 끌고 산책하기에도 좋다.
⊙ 하나비
- 문셰프 하나비
055-339-2235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번화1로67번길 12
일본 현지 요리연수, 국내 유명 일식집 수석셰프 등 30년 경력의 ‘문셰프’가 만드는 계절에 맞는 재료로 매일 가장 맛있고 색다른 코스 요리를 제공한다. ‘오마카세’ 일본 현지식당에 온 듯한 분위기에서 감동적인 맛을 느낄 수 있다. 손님의 먹는 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음식을 순서대로 내어주어 편하게 식사가 가능하다.
⊙ 관음정사(김해)
- 홈페이지
https://www.gimhae.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평지길 299
관음정사는 김해시 진례면 신안리 평지마을 불모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 도시의 삭막함과 세속의 번뇌를 벗어나 산사에서 일상생활 체험을 통해 조용히 자신의 내면세계를 성찰하고 자아발견의 계기를 마련하는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다. 템플스테이 종류로는 휴식형과 맞춤형이 있다. 휴식형은 사찰의 주요 일정인 예불, 공양, 운력 등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산책, 등산, 명상, 도자기공예체험 등 자유롭게 활용하는 형태로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을 재충전할 수 있다. 맞춤형은 기업이나 각 기관, 단체, 학교 등에서 단체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인 진행을 위해 각 단체별로 원하는 내용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연수교육 등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관음정사에는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다. 그중 첫 번째는 ‘김해 관음정사 소조보살좌상’이다. 19세기말 20세기 초의 보살상으로 토제의 소형 보살상임에도 불구하고 부드러움과 자연스러움이 잘 표현되어 있고 전통적인 소조 기법으로 제작되어 희소성과 예배대상물로서의 빼어난 조형미를 지니고 있는 등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또 다른 문화유산자료는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영혼들에게 지내는 불교의식을 모은 책인 ‘김해 관음정사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이다. 이 책은 1637년에 출판된 것으로 조선시대에 유행한 전적류으 파악과 다양한 지방본을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조선후기 천도재(죽은이의 영혼을 극락에 보내기 위해 치르는 의식)의 변천사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높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