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남도

[전라남도 화순군] 황토와참숯

반응형

황토와참숯


- 황토와참숯
061-373-5054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877

전남 화순시 한천자연휴양림 근처에 위치한 황토와참숯은 국내산 생고기만 취급하고 있어 다른 식당에 비해 고기가 부드럽고 쫄깃한 맛이 강하며, 10여 가지의 맛깔스러운 밑반찬으로 다른 고깃집과는 엄격하게 차별화를 시키고 있다. 어린아이를 동반한 가족을 위하여 마당에는 아이들을 위한 놀이공간이 있어서 좀 더 편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생고기 / 육회

- 문의및안내
061-373-5054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어린이놀이방여부
0

- 영업시간
09:00~21:00

- 예약안내
전화 예약 문의 (061-371-5020)

- 주차시설
주차 가능

- 취급메뉴
생고기 / 육회 / 꽃등심 / 생삼겹살 / 목살주물럭 외





◎ 화장실
남녀개별 / 업소내 위치





황토와참숯_01황토와참숯_03황토와참숯_05황토와참숯_06



◎ 주위 관광 정보

⊙ 죽수절제아문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죽수길 73

동헌은 수령이 공사를 처리하는 대청인데 죽수절제아문은 바로 능성현(1143년 현령파견∼1632년)의 동헌인 녹의당(綠倚堂)의 정문으로 지어 진 관아의 대문이다. 최초의 건립은 언제인지 알수 없으나 녹의당(綠倚堂) 건립과 함께 지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1599년(선조 32)에 아문을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전해에 끝난 정유재란의 피해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1602년(선조 35)에는 당대의 문필가이던 하동정씨 정이(1568∼1625)가 객관인 능성관의 현판과 함께 쓴 죽수절제아문 현판이 오늘에 전한다.

1632년 능주목으로 승격된 뒤에도 동헌의 정문으로 사용되었고 수차에 걸친 보수와 단청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아문의 구조는 막돌초석에 민흘림 기둥을 세웠고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지붕이다. 1983년 보수하였으며 1989년 드잡이 및 번와공사를 하였고 1994년에 해체 복원하였다.(건축구조 및 의장 : 이 문은 정면 3칸, 측면2칸의 단층 팔각집이다. 중앙칸은 옆보다 넓게 꾸며 2짝 판자문을 달았고 그 앞으로는 외짝 문을 달았다. 문 상부에는 홍살을 꽂았다.
기단은 막돌로 낮게 축조되어 있고 초석은 큼직한 덤벙주초를 사용하였다.기둥은 자연스럽게 휜 두리기둥을 사용하였고 그 위에 주두를 얹고 횡으로 창방을걸었다. 창방위에는 중앙칸에만 3소로 화반 1구를 배치하였다. 공포는 주두 부근에서 이익공식으로 꾸몄는데 쇠서 아래에는 연봉이 조각되어 있는 등 비교적 화려하다. 가구는 단순한 3량구조로서 대량위에는 판대공을 놓았고 종도리와 주심도리는모두 장혀받침이 있는 굴도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측면의 중심기둥으로부터 대량위로 충량을 걸었다.)


⊙ 화순성화명도로수축시주목록암각기문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능주면 잠정리 충신강변에 있는 삼충각 중 최경회 선생 정각(旌閣)이 있는 석대 아래에 새겨져 있는 기문으로 바로 위에는 목사송후유룡청덕애민비(牧使宋候儒龍淸德愛民碑)가 있다. 전체적으로 가로 150cm, 세로 80cm 가량의 면을 이용하여 약 5cm의 크기로 25행 180여자를 새겨 놓았는데 석질이 좋지않고 풍화가 심하여 왼편으로 갈수록 판독이 곤란하다. 이 기문은 각행의 글자수나 줄 등이 나란하지 않고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새겨져 있다.판독 가능한 부분을 통해 보면 이 기문은 성화 21년에 능성현의 남쪽 오리정(五里亭)앞에서 구질건연(仇叱健硯=거치른벼랑)까지 도로수축 사업에 시주한 사람들의 이름을 새긴 것이다.성화21년 을사년은 조선성종 16년(1485)에 해당된다.도로수축의 시주자들은 대시주, --시주, 상-시주, 대화주, 몽민화주 등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장의 이름도 나온다. 기문의 두곳에 여고리라는 지명이 보이나 의미는 잘 알 수 없다.이 기문에 보이는 여러 인명들 자료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는 사람은 대시주로 기록된 장사랑(將仕郞) 구용연(具龍淵)뿐이다.

구용연은 본관이 능성, 자는 회관, 호는 농포로 고려때 평장사를 지낸 구민첨(具民瞻)의 후손이며 구득인(具得仁)의 아들이다. 1450년(세종32)에 태어나 1534년(중종29)에 85세로 졸하였다. 이를 보면 도로수축에의 시주는 그의 나이 36세의 일이다.효행이 뛰어났다 하며 문행이 있어 음직으로 장사랑을 지냈다. 부인은 우산송씨 중인의 딸로 그와 동갑이며, 그보다 2년 앞서 졸하였다.한편 이들 인명들이 모두 시주, 화주, 거사 등 불교적 용어로 표현되고 있는데 이로 보아 불교 신앙단체가 도로수축에 관여했거나, 절에서 도로수축사업을 주관하였을 추측이 들기도 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이 암각기문은 조선초기에 도로를 수축하는 사업에 지방민들(혹 불교의 신앙단체)의 많은 경제적 도움을 얻었다는 구체적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는 점, 성화 21년이라는 절대연기가 명기된 점, 오리정 및 구질건연, 여고리와 같은 지명이나 시주한 인물들의 구체적 이름 및 시주의 등급 등이 명기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방사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화순능주삼충각


- 홈페이지
https://www.cha.go.kr/main.html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이 곳 삼충각은 조선 선조 26년(1593)에 진주성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장렬히 순절한 충의공 최경회와 지평 문홍헌 장군과 명종 10년(1555) 을묘왜변때 전라남도 해남지방에 침입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한 조현장군 등 세 충신의 애국충정을 추모하기 위하여 숙종11년(1685) 능주 향교 유림들이 건물 3동을 건립한 것으로, 현재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죽수서원


- 홈페이지
http://www.hwasun.go.kr/index.do?S=S09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학포로 1786-45

1986년 9월 29일 전라남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이 서원은 조광조(趙光祖)와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을 배향하고 있다. 1570년(선조 3)에 능성현령 조시중(趙時中)의 협조로 지금의 자리에 서원을 짓고, 죽수(竹樹)라는 사액을 받았다. 조광조는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능성현에 유배되었다. 이때 조광조와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함께 했던 양팽손도 관직을 삭탈당하고 고향인 능성현에서 지내고 있었다. 이에 두 사람은 자연히 만나 서로 의리를 다지게 되었다. 그러나 조광조가 유배된 지 한 달여 만에 사약을 받고 죽자, 양팽손은 몰래 시신을 거두어 화순 쌍봉사 골짜기에 장사를 지내고 마을에 초가집을 지어 제자들과 함께 제향하였다. 그러다가 1568년(선조 1)에 조광조는 영의정으로 추증되었고 이듬해 문정(文正)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와 함께 조정에서는 조광조를 향사할 서원을 건립하기로 하고 지은 것이다. 1613년에 중수하였고, 1630년 유림들과 조정의 김장생(金長生) 등이 뜻을 모아 양팽손도 추배하였다. 그러다가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헐려 겨우 단 을 마련하여 제향하여 왔다. 1971년 제주양씨 후손들이 도곡면 월곡리에 죽수서원을 복원하였다. 1983년 다시 한양 조씨 조국조(趙國朝)를 중심으로 한 후손들이 본래의 위치인 모산리에 복원을 추진, 월곡리의 건물을 이전 신축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1989년에 동재를, 1994년에 관리사를 신축하였다.

⊙ 영벽정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922-53 (능주면)

영벽정이란 계절따라 변모되는 연주산의 경치를 맑은 지석강물에 투영되어 운치있게 바라볼 수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연주산 아래 지석강의 상류 영벽강변에 있다.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경승지에 있기 때문에 행락객들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2층 팔작지붕에 기와를 얹은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누각형이다. 건립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양팽손 등이 쓴 제영으로 보아 조선 명종때나 선조때(16세기 후반)인 것 같다. 건립자는 능 주목(군), 즉 관청이 건립의 주체였었다고 생각된다. 인조의 모후인 인헌왕후의 고향이라 하여 목사골이 되고 목사 정윤이 아전들의 휴식처로 정자를 개수하였다고 한다. 후일 고종 9년(1872)에 화재로 인해 소실됨에 따라 다음 해인 1873년 계유에 능주목사인 한치조가 중건하였고, 1920년 군민의 출연으로 중수하였다.정자 안에는 9개의 현판이 있다. 기단위에 주춧돌을 넣고 원형기둥으로 세웠다. 이 기둥 위에 마루를 깔아 중층 누각형 정자를 만들었다. 마루의 사방에는 계자 난간을 돌려 장식하였고 처마밑에는 활주를 세웠다. 누 위의 기둥머리에는 익공형식의 공포를 하였고 천정은 연등천정이나 중앙부는 우물천장을 설치하였다. 지붕을 3겹으로 한 것은 아주 보기드문 예로 주목된다.


⊙ 능주향교


- 홈페이지
http://njhyanggyo.kr/index.do?S=S01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교촌길 36

1392년(태조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능주의 서쪽에 창건되었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다가 1600년에 현령 하응도(河應圖)가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611년 현령 윤수(尹燧)가 동무(東廡)·서무(西廡)를 중건하고 1724년에 중수하였으며, 1775년에 목사 이광도(李廣度)를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이 중수하였다. 1921년에는 동무를 중건하고 1923년에 명륜당과 서무를 보수하는 한편, 동재와 서재를 신축하였으며, 그뒤로도 수차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교재단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1855년(철종 6) 이후에 재임한 역대 임원들의 기록이 잘 보관되어 있는데, ≪능주향교유안 綾州鄕校儒案≫·≪사마재유사안 司馬齋有司案≫·≪양사재집강안 養士齋集綱案≫ 등의 안류(案類)와 ≪육영재절목 育英齋節目≫·≪능주목유생흥학절목 綾州牧儒生興學節目≫ 등 절목류의 기록이 10여권에 이른다.

⊙ 화순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정암길 30

1519년 기묘사화로 인해 능성에 귀양을 왔던 정암 조광조(1482~1519) 선생을 추모코자 세운 것이 적려유허비이다. 적려란 귀양 또는 유배를 말한다. 이 적려유허비는 능성현 당시 북문이 있었던 곳 부근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는데 귀부와 비신, 이수를 갖추고 있다. 귀부는 자연석에 가까운 암석으로 거북의 형태만 갖추었고 귀부도 형상만 다듬었다. 비신은 전면에 [정암조선생적려유허추모비]라 하여 해서체 종서 2행으로 썼다. 비신 뒷면은 상단에 [정암조선생추모비]라 전액하고, 그 밑으로는 정암선생의 유배 내력을 기록하였다. 비문은 의정부 우찬 겸 성균관제주세자이사 송시열이 짓고 전서는 충청도 관찰사 겸 수군절도사 순찰사 민유중이,글씨는 의정부 좌참찬 송준길이 썼으며 현종 8년(1667년) 4월에 능주목사 민여로가 건립하였다.

이수는 반원형인데 전면에는 쌍룡이 엉키어 있으며 배면에는 한 마리의 용이 구름을 타고 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다. 총높이는 295㎝, 귀부의 높이는 164㎝, 폭은 81㎝, 두께는 29㎝, 이수의 높이는 71㎝이다. 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맞배지붕으로 창방과 평방을 두르고, 우물천정을 하였으며, 방풍판을 달았다.이 비각은 1982년, 1983년, 1997년에 각각 보수를 하였다. 1986년에 강당(정면5칸, 측면 2칸)과 영정각(정면 3칸, 측면 1칸)을 건립하여 영정을 봉안하고 있으며, 유배 생활을 했던 초가를 복원하여 적려유허비 주위를 정화하였다. 정암 선생의 휘는 광조요 자는 효직이며 한양 조씨의 문중에서 1482년에 태어났다. 김굉필에게서 수확하였으며 뒷날 김종직의 대를 이어 사림의 영수가 되었다.1510년에 진사 장원하고 1515년 급제하여 벼슬로는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 등을 역임하면서 중종의 신임을 얻고, 유교로써 정치와 교화의 근본을 삼아 왕도정치를 실현시키려 노력하였다. 중종 14년(1519) 대사헌에 이르렀으나, 동년 11월 기묘사화를 당해 이곳 능성현으로 유배되었으며, 12월 20일에 사약을 받았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