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청송군] 만수무강

728x170

만수무강


- 만수무강
054-872-8881, 8882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논시골로 14

청송 주왕산(周王山)과 더불어 달기약수탕을 끼고 있으며 온천지구 휴양단지 내 위치하고 있는 아늑하고 조용한 분위기의 음식점이다. 선조들의 지혜와 슬기를 이어받은 모방할 수 없는 맛과 영양, 건강만점의 오리요리는 타육류의 산성에 비해 알카리성 음식으로 현대병 여성미용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녔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유황오리요리

- 문의및안내
054-872-8881, 8882

- 쉬는날
토-일요일, 명절 연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어린이놀이방여부
0

- 영업시간
10:00 ~ 22:00

- 예약안내
전화 예약 문의 (054-872-8881, 8882)

- 주차시설
주차 가능(약 50대)

- 취급메뉴
한방오리황토구이(2시간30분전예약) / 한방오리백숙 / 오리훈제수육 외

- 포장가능
가능





◎ 화장실
남녀개별 / 업소 내부 위치





경북_청송_만수무강01경북_청송_만수무강02경북_청송_만수무강04경북_청송_만수무강05



◎ 주위 관광 정보

⊙ 달기약수탕 (청송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https://csgeop.cs.go.kr/bbs/board.php?bo_table=myeongso01&wr_id=24"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16

달기약수탕은 지금으로부터 약 130년 전 수로공사를 하던 중 발견되었다. 톡톡 튀는 맛을 내는 탄산을 비롯하여 다양한 물질들이 녹아 있어 예로부터 위장병, 부인병, 안질과 같은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약수는 빗물로부터 시작된다. 빗물이 지하에 스며들어 지하수가 되고, 지하 깊은 곳의 마그마에서 뿜어져 나온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탄산수로 바뀌게 됩니다. 탄산수는 지하의 암석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용해시킨 뒤, 화강암과 퇴적암 사이 틈을 따라 지표로 상승하여 지금의 탄산약수로 솟아나고 있다.

<출처 : 청송 국가지질공원>


⊙ 청송솔기온천


- 홈페이지
http://www.juwangspahotel.c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315 (청송읍)

청송 주왕산관광호텔에 위치한 솔기온천. '솔기'란 소나무솔(松)과 기운기(氣)의 합성어로서 예로부터 십장생의 하나인 소나무의 기운이 서린 온천수라는 뜻이다. 현대인의 만성 질병인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 어깨결림 등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전하며 주왕산국립공원, 하회마을, 도산서원, 안동댐, 임하댐, 영덕 해상공원의 일출, 영양수비계곡 등 주변의 관광명소를 마음껏 만끽할수 있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 청송포교당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267-11

청송포교당은 팔공산 은해사의 청송지역 포교당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청송포교당은 1936년에 청송읍내의 신도들이 마음을 모아 세운 사찰이다. 따라서 초창기 창건이후부터 지금까지 별다른 역사는 전하는 게 없다. 하지만 어려운 현실을 딛고 고령지역민의 포교를 위해 군법회며 불자들을 모아 불심을 펼치는 데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 창건배경 및 역사

원래 경허선사가 주석하였다고 하며 그 뒤 1936년 청송읍내의 신도들이 합심하여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이후 이렇다할 사적은 전하는 게 없으며, 청송읍내의 포교당으로 지역 주민과 가까이 호흡하며 불법을 밝히고 있다.


⊙ 청송향교


- 홈페이지
http://www.cs.go.kr/tour.web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259-30

1426년(세종 8)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1606년(선조 39) 부사 이영도(李泳道)가 국동(菊洞)에 대성전을 건립하고, 1629년(인조 7) 부사 이문증(李文證)이 동무(東廡)·서무(西廡)와 강당 등을 보축, 중수하였다. 이 후 1693년(숙종 19) 부사 이문징(李文徵)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700년 부사 이상훈(李相勛)이 청아루(菁莪樓)를 증축하였고,1869년(고종 6) 부사 윤현기(尹顯岐)가 대대적인 개수와 보수를 하였다. 1962년 동무·서무를 철거하고 청아루를 보수하였으며, 1975년 대성전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7칸의 청아루, 5칸의 명륜당, 외삼문(外三門), 일각문(一閣門), 주사(厨舍)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 망미정 우송당


- 홈페이지
http://www.cs.go.kr/tour.web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 183

망미정은 100여 년 전인 1899년 청송부사 장승원(張承遠)이 건립한 정면3칸 측면3칸 팔작(八作) 집으로 '아름다움을 바라본다'는 뜻에서 명명됐으며 현비암과 조화를 이뤄 형언할 수 없는 절경과, 절벽 밑에는 수심 3m의 소(沼)가 사계절 마르지 않아 보는 이들이 탄성을 자아내고 있다. 또한, 우송당은 300여년전 윤두석선생의 유상지소(遊賞之所)이던 곳을 숙종14년(1688년) 무진년에 그의 손자 윤상영이 그 뜻을 기리기 위해 지은 서당으로 전해지고 있다.


⊙ 소헌공원


- 홈페이지
https://www.cs.go.kr/main.web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금월로 269 소헌공원

소헌공원은 찬경루, 운봉관 등의 문화재가 있으며 각종 음악회, 행사가 펼쳐지는 곳이다. 찬경루는 청송지역 객사의 누각이며, 운봉관은 중앙에서 파견된 외국의 사신들이 머물 수 있도록 한 객사이다.
공원 명칭은 2010년 군민과 출향인을 대상으로 공모 절차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 과정 및 군정조정위원회를 거쳐, '소헌공원'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공원 명칭의 유래는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이다.
(출처: 청송군청 문화관광과)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