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년가게]동해루
- 동해루
041-632-2172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29번길 48
※ 영업시간 11:00 ~ 21:00 (전화문의)
내 식구를 위한 음식을 만드는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요리하는 중화요리 전문점. 단가가 비싼 오룡해삼의 대중화를 위해 새우살 속에 해삼을 토막 쳐서 넣는 방법으로 조리법을 바꾸었다. 이 방법으로 단가를 낮춰 오룡해삼을 더 많은 손님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오룡해삼
- 문의및안내
041-632-2172
- 쉬는날
둘째·넷째주 일요일 (전화문의)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어린이놀이방여부
0
- 영업시간
11:00 ~ 21:00 (전화문의)
- 주차시설
주차 가능
- 취급메뉴
오룡해삼 / 짜장면 / 짬뽕 외
- 포장가능
가능
◎ 화장실
업소내 위치
◎ 주위 관광 정보
⊙ 조양문
- 홈페이지
http://tour.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홍성읍)
조양문은 홍주성의 동문이며 홍성군의 관문으로 고종조에 목사 한응필이 홍주성을 석성으로 개축하고 동서남북의 문루도 다시 세웠다. 동문은 조양문 서문은 경의문 북문은 망화문이라 하는데, 대원군이 친필로 하사하였으며 남문은 문루가 없는 홍예문이었다. 북문은 역대 목사들이 문루에서 사형수의 처형을 감시하기도 하였는데, 동학운동(1894) 때는 수백 명의 동학군이 여기에서 처형되었다. 고종 광무 10년(1906) 항일의병이 일어나 일본군과 홍주성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그때의 흔적이 조양문 곳곳에 보인다. 일본인들에 의하여 서문과 북문은 파괴되어 없어지고 조양문 또한 파괴되었으나 부분적인 보수로 퇴락되었던 것을 1975년 문루를 해체 복원하여 옛 모습을 찾게 되었다.
⊙ 홍주아문
- 홈페이지
http://tour.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홍주아문은 역대 홍주목사가 행정을 하던 안회당(安懷堂) 외문으로 1870년 당시 홍주목사 한응필이 홍주성을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이 성의 동문인 조양문의 문루를 설치할 때 세운 것이며, 홍주아문이란 철판을 대원군이 사액한 것으로, 우리 나라 아문 중에서도 가장 크고 특이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군청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적으로 지정되어있다. 홍주아문 안에는 열간 반의 규모인 내삼문과 남과 북으로 행랑을 이어서 지어 담장을 대신했던 큰 건물이 있었는데, 3·1 운동 당시 홍성의 만세사건을 진압시키기 위해 진주한 일본군이 홍성군청을 병영으로 삼고 군수를 추방하는 한편 내삼문을 헐어버렸다. 그 이후 행랑은 보수하지 못해 스스로 무너져 버렸고 오직 외삼문인 홍주아문만 보존된 것이다. 이 역시 홍성군수 조영호가 문화재 관리국의 지원을 얻어 현재와 같이 보수하고, 종전에 이 문을 군청 정문으로 활용하던 것을 막고, 그 옆으로 현재의 정문을 세워 활용케 하여 홍주아문을 오늘과 같이 보존하게 되었다. 홍주아문은 우리 나라의 아문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현판의 글씨는 흥선대원군의 것이라고 한다. 대원군이 사액한 홍주아문의 글씨는 6.25 전후해서 망실되었다. 현존하는 홍주아문 글씨는 광천에 살았던 중국인 글씨라 한다.
⊙ 홍주성역사관(홍성)
- 홈페이지
http://history.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0
홍성 홍주읍성(사적 231호) 내 위치하고 있으며 전면적 7,199.17㎡, 연면적 1,669㎡로 구성되어 있다. 홍성과 충남 내포지역의 특색 있는 역사와 문화, 관련 유적 및 유물을 소재로 전시를 하고 있다. 역사관의 기본적 기능에 충실하여 전시 유물의 상징적 의미와 예술적 요소를 함축성 있게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민 참여와 소통의 장이자 연구의 중심지로서 지역 정보 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박물관 주변에 옛 홍주목 관련 흔적들이 남아 있어 전시와 연계한 볼거리가 마련되어 있다.
* 개관일 2011년 5월 6일
⊙ 홍주성 천년여행길
- 홈페이지
https://www.hongseong.go.kr/tou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홍주성 천년여행길은 지금까지 천년을 한결같이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중심을 지켜오며 그 찬란한 천년 역사를 품에 안고 있는 내포의 큰 고을 홍주를 돌아보는 길이다. 홍주성 천년여행길은 희망찬 홍성을 상징하는 고암길과 서민경제의 심장과 같은 장터길, 도심속 답답한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힐링 공간인 매봉재길,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홍주사람들의 삶과 애환을 고스란히 간직한 홍주성길, 근 · 현대를 넘어드는 추억의 골목길로 이루어져 있다.
1코스(전코스) 약8km, 약 3시간 소요
2코스(역사&힐링코스) 약5km, 약 1시간10분 소요
⊙ 안회당과 여하정
- 홈페이지
http://tour.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홍성읍)
안회당은 홍주목의 동헌으로, 오량으로 된 22칸의 목조와가이며, 고종7년(1870) 4월에 상량하여 전 주민의 정성과 정교한 기술로 완성한 관서로서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안회당과 취은루는 사료 전시실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안회당 뒷뜰과 연접한 소당위에 있는 여하정은 고종 33년(1896)에 이승우 목사가 신축한 수상정으로 목조와 즙의 육각형 정자이다. 규모는 3평 5합 5작에 불과하나, 옛 연못을 연련하여 누운 고목과 수면을 장식한 연꽃은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한다.
⊙ 홍성 홍주읍성
- 홈페이지
https://www.cha.go.kr/
http://tour.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충남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길이 약 1,772m의 성벽 중 약 800m의 돌로 쌓은 성벽의 일부분이 남아있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홍주성의 둘레와 여름과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하나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되었던 조선 세종 때에 처음 쌓기 시작하여 문종 1년(1451)에 새로 고쳐 쌓았다. 당시 성의 규모는 둘레가 4,856척(약 1.5㎞), 높이는 11척(약 3.3m)이며 문은 4개가 있었고, 여장·적대 등의 여러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안에는 우물 2개가 있었다고 한다. 동문인 조양문은 현재까지 남아있고 1975년 복원한 것이다.
아문은 조양문의 문루를 설치할 때 함께 세운 것이며 ‘홍주아문’이란 글씨는 흥선대원군이 직접 썼으나 현재 남아있지 않다. 우리나라 아문 중에서 가장 크고 특이한 형태를 지니며 조선시대 관아의 구조와 형태를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안회당은 홍주목의 동헌으로 22칸의 목조 기와이다. 역대의 홍주목사와 홍주 군수가 행정을 집행하던 관아건물로 현재 군청 후정에 위치하고 있다. 여하정은 목조 와즙의 육각으로 된 수상정으로 현재 군청 후정에 안회당 뒤뜰과 연접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킨 민종식 등이 이 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공격하여 덕산으로 격퇴시킨 일이 있다. 이곳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읍성으로 이어졌으며, 조선 초기 새로운 형식에 의해 쌓은 성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 홈페이지
http://tour.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절에서는 불교의식이 있을 때 사찰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다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홍성읍내의 경작지 한 가운데에 78㎝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다.이 일대는 고려시대의 광경사(廣景寺)터로 알려져 있고, 석탑 및 석불좌상 등이 함께 전하고 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위로 오를수록 가늘어지고 위쪽에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이 파여 있으며 가운데 깃대는 남아있지 않다. 기둥의 바깥 면에는 세로줄 문양이 새겨져 있고 기둥 머리부분은 둥글게 처리되었다. 두 지주 사이에는 낮은 대(臺)가 놓여 있는데 중앙에 둥근 구멍 하나가 뚫려있어 깃대를 세우던 자리임을 알게한다. 높이가 4.8m이고 다소 무거운 느낌을 주는 이 당간지주는 고려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홍성군
⊙ 홍성 홍주의사총
- 홈페이지
http://history.hongseong.go.kr
http://tour.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의사로 79 (홍성읍)
조선말기(병오년) 홍성 지역에서 있었던 의병 운동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희생된 분들의 유해를 모신 곳이다. 1905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홍주 지역에서는 1906년(병오년)에 전 이조참판 민종식이 채광묵, 박인기, 이만식, 농민, 유생 구 관리를 중심으로 홍주성에 쳐들어갔는데 당시 홍성 군수 이교석과 이주승도 처음에는 의병 군에 호응할 기미였다가 일본군 다수가 입성한다는 소식을 듣고 성문을 닫고 입성을 막아 부득이 물러난 후 3월 22일에 재차 홍주성에 쳐들어갔으며 5월 19일에 홍주성을 함락시켰다.
그 후 일본군이 5월 25일부터 홍주성의 의병 군을 공격하여 30일부터 본격전이 시작되었으며 그때에 일본군 대포에 의해 조양문이 부서졌고 중과부적으로 의병 수백 명이 전사하여 시체가 대교리 일대의 냇가와 남산 일대에 흩어져 있었다. 1949년 4월 5일 홍성 군수 박주철과 홍성 경찰서장 박헌교가 직원들을 인솔하고 현재 의사총이 있는 부근에서 식수하다가 의외로 많은 유골을 발견하였다. 병오 항일의병 시 전사한 의병 군의 유골이 임시 매장된 것으로 판명되어 충청남도에 그 사실을 보고하고 도비를 지원받아 유골을 모아 이곳에 합장하여 분묘를 조성하였다. 1992년 구백의총(九百義塚)이란 이름이 ‘홍주 의사총’으로 바뀌었으며 매년 5월 30일에 순국 의사에 대한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 홍주향교
- 홈페이지
http://tour.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충서로1575번길 93
고려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지지만, 구체적인 전거가 확인되지는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향교의 위치가 홍주의 북쪽 3리에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현재의 위치로 추측된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홍주향교에는 조선전기에 종6품의 교수가 파견되었고, 실제로 1609년(광해군 1)에 신정의(辛廷懿)가 홍주 제독관으로 파견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홍주향교의 보수내역은 1871년(고종 8)에 향교의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1880년에는 홍주목사 김윤현(金胤鉉)에 의해 동무·서무와 중삼문(中三門)이 신설되었다. 1893년에는 대성전이 중수되었고, 1914년에는 대성전과 후원(後垣)이 수선되었으며, 1924년에는 문묘 전부가 수보(修補)되었다. 1958년·1972년·1995년에 중·개수가 있었으며,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홍주향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고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으며, 전교 1명과 장의 6,7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 홍주문화회관
- 홈페이지
홍주문화회관 http://art.hongseong.go.kr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내포로 164
홍주문화회관은 1988년 1월 1일에 개관하여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문화, 예술행사를 공연하는 등 군민들의 문화예술의 장으로 활동하여 왔다. 대공연장, 소공연장,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9년에서 2011년까지 리노베이션 공사를 통해 연극, 뮤지컬, 오케스트라 등 종합문화예술공연을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남도 보령시] 신선한게국지간장게장 (0) | 2023.11.24 |
---|---|
[충청남도 천안시] 승지원 (0) | 2023.11.24 |
[충청남도 논산시] 루체 (0) | 2023.11.23 |
[충청남도 천안시] 녹원 (0) | 2023.11.20 |
[충청남도 서천군] 동생춘 (0)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