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북도

[전라북도 임실군] 카페 빈스

반응형

카페 빈스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사선로 24

싱그러운 꽃과 화분이 가득한 전북 임실의 카페 빈스는 넓지만 아기자기한 내부 인테리어로 손님들의 마음을 끌고, 사계절 내내 창으로 바라보는 바깥 풍경이 아름다워 여유롭게 차를 마시며 쉬어 갈 수 있는 임실의 커피 맛집이다. 관촌 공용 터미널의 바로 옆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내부 좌석뿐 아니라 야외 테라스도 있어 날이 좋은 날엔 테라스에서 햇살을 즐길 수 있으며 매장 안과 밖의 다양한 식물과 꽃들을 보며 아늑하고 한적하게 휴식을 누릴 수 있다. 임실 카페인만큼 임실 치즈 관련 상품들도 진열되어 구매가 가능하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아메리카노

- 문의및안내
0507-1342-3134

- 쉬는날
매주 일요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영업시간
월요일~토요일 10:00~21:00 (라스트오더 20:30)

- 주차시설
가능

- 취급메뉴
카푸치노 / 토마토쥬스 / 밀크쉐이크 / 백향과 에이드 / 고구마라떼 등

- 포장가능
가능







카페 빈스 내부 통창 풍경카페 빈스 테라스카페 빈스 내부 창문카페 빈스 딸기라떼카페 빈스 수제에이드카페 빈스 스무디카페 빈스 청귤에이드카페 빈스 화분들과 커피카페 빈스 내부 좌석카페 빈스 내부 창문2카페 빈스 외부의 꽃카페 빈스 꽃과 커피카페 빈스 딸기탄산수카페 빈스 아메리카노카페 빈스 청귤차





◎ 주위 관광 정보

⊙ 사선대관광지&조각공원

- 홈페이지
http://tour.imsil.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사선2길 68-7

사선대관광지는 섬진강 상류 오원천 기슭 사선대 주변에 조성되어 1985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됐다. 사선대에는 진안군 마이산의 두 신선과 임실면 운수산의 두 신선이 관촌의 강변이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와 노는 것을 하늘의 네 선녀가 보고 내려와 함께 놀았다는 전설이 전한다.
예로부터 소나무와 벚나무가 울창하여 봄에는 벚꽃이 만발하고 여름에는 물놀이를 즐기는 사람들로 붐빈다. 가을에는 단풍이 절경을 이루며 겨울에는 하류에 얼음이 두껍게 얼어 썰매나 스케이트를 타기에 좋다. 사선대 위 깎아지른 절벽 위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정자 운서정이 있다. 1928년부터 6년에 걸쳐 지었으며 전통적인 조선시대 건축 양식에 따라 정각과 동서재, 가정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이곳에서 나라의 우국지사들이 모여 망국의 한을 나누며 앞날을 토론했다고 한다.
사선대조각공원은 전 세계 10여 개국 작가들의 조각작품과 인근 오궁리미술촌에서 향토 조각가들이 직접 제작한 조각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잘 가꾸어진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멋스러운 조각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높이 3m, 길이 20m에 이르는 콘크리트 벽에 네 명의 신선과 네 명의 선녀가 등장하는 사선대 전설을 그린 벽화도 눈길을 끈다. 또, 공원 내에 장미원과 장미터널을 만들어 꽃이 만발하는 시기가 되면 향긋한 장미향을 맡으며 길을 거닐 수 있다.

⊙ 초원장

- 초원장
063-642-0677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사선2길 46-14

임실군 관촌면 관촌리 사선대 관광단지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체 손님들이 많이 찾는다. 식당 마당에 들어서면 꽃과 나무가 어우러진 정원을 감상하게 된다. 한식 전문식당으로 깻잎, 호박잎, 마늘장아찌, 더덕장아찌 등 15여 가지의 반찬으로 구성된 상차림은 매우 토속적이다. 즉석에서 잡은 빠가, 메기를 주원료로 만들어 탕거리를 얹은 다음 마늘 다진 것과 시래기, 무순 말린 것, 민물새우 등을 무, 파, 양파, 마른 새우, 고추씨 등을 3시간 정도 넣고 끓인 육수와 함께 넣고 끓이는 전라도식 매운탕은 맛이 걸쭉하면서 일품이다. 인삼, 콩, 잣, 팥, 수수 등이 들어있는 돌솥밥도 영양도 좋고 맛도 좋다. 가을철에 옥정호, 사선대 등의 관광지를 찾는 관광객들이 많이 들르는 식당이다.

⊙ 호수정

- 홈페이지
http://www.063-643-7339.kti114.net

- 호수정
063-643-7339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사선2길 46-12

사선대 관광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 호수정은 식당의 규모가 크고 야외에 좌석과 파라솔이 마련되어 있어서 단체 모임 행사를 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식당 내부에 꾸며놓은 정원과 호수가 있어서 먹는 즐거움과 보는 즐거움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주메뉴는 매운탕 종류이다. 즉석에서 잡아서 끓이는 매운탕의 재료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깨끗하다고 할 수 있는 섬진강 상류 오원천의 물에서 잡아 올린 고기를 재료로 하며, 음식점 특유의 육수와 12가지의 양념을 넣어서 요리한다. 밑반찬으로 15가지 정도의 음식이 나오는데 특히 겉절이는 호수정 내에 있는 밭에서 직접 재배한 야채를 사용한다. 가을철 임실 관광을 오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음식점이다.

⊙ 포레드노드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사선2길 46-25

포레드노드 카페는 전라북도 임실 사선대공원 안에 있는 한적하면서도 분위기 좋은 카페로 유명하다. 카페, 음료뿐만 아니라 빵도 마련된 베이커리 카페로 가족과 함께, 연인과 함께 방문하는 손님들이 많다. 사선대공원 안에 있어서 산책 전후 들러서 차 한 잔의 여유를 즐기기에 좋다. 이 집의 시그니처 메뉴인 포레드 밀크티, 포레드 팝라떼는 각종 빵과 맛의 조화를 이루어 많은 손님이 즐겨 찾는다. 사선대공원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산책로의 신선한 공기가 카페와 잘 어우러져 가족 단위 방문이나 여행 코스로 좋다.
※ 반려동물 야외 좌석 동반 가능 (단, 목줄 착용,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등을 구비한 이용객에 한하여 허용)

⊙ 운서정


- 홈페이지
https://www.imsil.go.kr/tour/index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관진로 61-20

운서정(雲棲亭)은 승지 김양근(金瀁根, 1858∼1926)의 아들 김승희(金昇熙, 1892∼1958)가 부친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1928년 당시 쌀 3백 석을 들여 지은 누정이다. 남쪽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축대를 쌓아 단을 만들고 단 위에 건축물을 배치하였다. 솟을 대문에 누마루를 갖춘 가정문(嘉貞門)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 계단을 오르면 좌우로 동재와 서재를 배치하였고, 다시 축대를 쌓은 위에 운서정이 세워져 있다. 운서정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주심포양식으로 20개의 주춧돌기둥이 나무기둥을 받치고 있으며 팔작지붕의 네 귀퉁이에 추녀를 활주(活柱)가 받치고 있고 이 활주를 다시 화려한 활주석대(活柱石臺)가 받치고 있다. 정자의 전면에 두 마리 용을 운서정 현판의 좌우에 배치하여 바깥을 향하도록 하였으며, 대청의 대들보에도 용 두 마리가 몸통을 걸치고 마주 보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여무누리 한우치즈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치즈마을2길 36-3 여무누리

임실 치즈마을 맛집으로 유명한 한우&치즈 전문점이다. 궁전 풍의 외관이 인상적이며 안으로 들어가면 깔끔한 우드톤의 인테리어가 매력적이다. 홀과 룸이 모두 마련되어 있어 프라이빗 한 식사를 할 수도 있다. 꽃등심, 등심, 갈비/치마가 이 집의 대표 메뉴이며, 생고기, 육회, 구워 먹는 치즈 등의 고기류와 육회비빔밥, 부자국밥 등의 식사류도 있다. 소고기, 쌀, 김치, 고춧가루 모두 국내산을 사용한다. 임실치즈마을 방문 시 꼭 한 번 들러 볼 것을 추천한다.

⊙ 우유일기


- 홈페이지
http://instagram.com/uyou_diary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치즈마을길 193

임실 치즈마을에 있는 카페로 하얀색과 검은색, 본관과 별관 두 건물이 눈에 띄는 카페다. 실내와 야외 곳곳에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으며, 날씨 좋은 날에는 야외에서 피크닉 분위기를 만끽하며 차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도 있다. 건물 외부 정원에는 토끼, 염소 등을 기르고 있어 아이와 함께 방문하기에도 좋다. 우유일기라는 카페 상호에 걸맞게 이 집의 시그니처 메뉴는 리얼우유라떼이며, 다양한 라떼종류가 고루 인기다. 건물 옆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주차가 편하다.

⊙ 임실 치즈마을


- 홈페이지
https://imsilcheesemaeul.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치즈마을1길 4

임실 치즈마을은 한국 치즈의 원조인 임실치즈의 뿌리가 되는 마을이다. 치즈마을은 벨기에 출신이며 한국 치즈의 아버지로 불리는 디디에 세스테벤스 신부(한국이름 지정환)와 심상봉 목사, 이병오 이장 등의 선구자와 주민들이 밤낮없이 노력해 지금의 명성을 갖게 됐다. 전주시로부터 약 20km 거리에 위치해 도심과의 접근성이 우수하며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임실모짜렐라치즈 체험, 임실치즈 우리 쌀 피자체험, 임실 요거트만들기 체험 등이 열린다. 옛날에는 느티나무로 마을을 가꿔 느티마을로 불렸으나 지정환 신부님이 1966년 산양 두 마리를 키우면서 치즈를 만들기 시작하고 유명해진 뒤 마을총회를 통해 치즈마을로 이름을 바꾸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