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셰프에이롬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역로5번길 19
연천역 근처에 위치한 팜셰프에이롬은 스파게티와 파스타 전문점이다. 계절마다 제철 식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음식 메뉴가 나오며 시래기 파스타, 떠먹는 옥수수 파스타는 이곳에서만 맛볼 수 있는 특색 있는 메뉴이다. 건강한데 맛있는 한 끼로 연천 현지 주민들에게 인기가 많다. 음식뿐만 아니라 직접 농사지은 작물로 만드는 건강한 디저트와 비건 빵도 맛볼 수 있으며 대표 메뉴는 버터 스콘이다. 스콘, 비건 머핀,쿠키 등 다양한 디저트들이 나오는데 디저트 또한 인기가 많다. 따뜻한 가정집 분위기의 매장 안에서 따뜻한 음식들을 선보이는 팜셰프에이롬은 방문자들에게 만족스러운 경험을 선사한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새우크림파스타
- 문의및안내
0507-1327-0122
- 쉬는날
매주 월요일
- 영업시간
화요일~토요일 11:30~20:30 (브레이크타임 15:00~17:00, 라스트오더 19:30)
일요일 11:30~16:00 (라스트오더 15:00)
- 취급메뉴
시래기 파스타 / 떠먹는 옥수수 파스타(계절메뉴) / 버터 스콘 / 비건 머핀 / 꽈트로 치즈 피자 등
- 포장가능
가능
◎ 주위 관광 정보
⊙ [DMZ 평화의 길] 1.21 침투로 탐방 코스
- 홈페이지
https://www.durunubi.kr/dmz-main.do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275-1 연천역~호로고루
1.21 침투로 탐방 코스는 총 12.3㎞ 길이로 1.8㎞ 도보 이동이 진행되는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 코스 중 하나이다. 코스는 연천역 → 1.21 침투로 → OOO초소 → 비룡전망대 →호로고루로 진행된다.
주요 지점 중 한 곳인 비룡전망대는 북한을 바라볼 수 있는 남한 최전방의 관측소이다.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지역으로 육군 제25보병사단에 의해 철저히 관리되고 있다. 또한 호로고루는 5세기 고구려에 의해 축조된 요새로 자연 지형을 그대로 활용하여 지어졌으며 당포성, 은대리성과 함께 연천의 3대 성으로 알려져 있는 곳이다.
연천은 경기도 최북단 지역으로서 황해도 장단군과 금천군, 강원도 철원군과 맞닿아 있어 6.25 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후에도 남북 간 대립이 끊이지 않았던 지역인 동시에 한탄강과 임진강이 만나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지역이다. 잘 보존된 천연 자연 환경으로, 매년 겨울, 두루미가 찾아오는 등 수많은 철새가 이곳에서 겨울을 나고 있으며, 한반도를 관통하는 1번 국도와 3번 국도가 지나는 길이자, 한반도 어느 방향으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중심 지역인 연천을 살펴볼 수 있는 코스이다.
※ 운영 구간 임시 변경 : 호우 및 태풍 피해로 도보이동 구간 1.8㎞에서 800m로 단축 운영 (복구일 추후 공지 예정)
⊙ 연천역 급수탑
- 홈페이지
https://www.yeoncheon.go.kr/tour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273-7
연천역 급수탑은 1919년 인천-원산 간 중간지점에 세워진 철도 급수탑으로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던 시설이다. 증기기관차와 급수탑은 1899년 9월 서울-인천 간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처음 등장하여 교통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였으나 1950년대 디젤기관차가 등장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때 세워졌던 연천의 역사 속 시설물들은 한국전쟁 당시 폭격에 의해 모두 사라졌으나 급수탑만은 원형대로 잘 남아 있다. 건립 당시에는 기관차 뒤에 달린 탄수차(炭水車)에 물을 공급하는 동안 물물교환 등 상거래가 활발하여 시장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6·25 이전까지만 해도 이곳은 북한의 최남단 지역이었고 경원선을 통한 북한의 군사물자가 대량으로 하역되었다. 이 때문에 하얀색의 이 급수탑을 좌표로 삼아 미군의 폭격이 극심하였고 아직도 건물에 탄흔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연천역 급수탑은 강원도 도계역 급수탑, 추풍령역 급수탑, 충남 연산역 급수탑, 경북 안동역 급수탑, 영천역 급수탑, 경남 삼랑진역 급수탑과 함께 철도 역사의 이해와 근대 교통사 연구를 위한 주요 유산으로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망곡산 연인공원
- 홈페이지
https://www.yeoncheon.go.kr/tour/contents.do?key=3965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285번길 52
로하스파크에서 옥계마을을 지나 평화누리길 3코스를 따라 걷다보면 청화산과 망곡산을 지나가는 숲 등산로가 나온다. 구간의 거리는 약 4.5km정도이며 야산의 소로길을 이용하는데 특히 망곡산에는 사색의 오솔길이라는 자그마한 소로길과 체육공원 정상의 팔각정 등이 조성되어 있어 일상의 상념에서 벗어나기에 부담이 없는 코스이다. 망곡산은 구한말 고종 황제와 순종 황제가 국상[國喪]을 당했을 때 관내 유림과 향민들이 이산에 올라와 궁궐이 있는 서울 쪽을 바라보며 시들어만 가는 국운을 애태워하며 통곡하였다하여 망곡산[望哭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또한 청화산은 고려말의 충신인 이양소 선생이 매일 개성을 향해 예를 올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이러한 선생을 기리기 위해 조선태종이 청화산이라고 이름을 지었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출처 : 연천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 연천문화원
- 홈페이지
http://연천문화원.kr/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문화로 143
연천문화원은 연천의 향토문화 역사, 지역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곳으로 향토사료를 발굴 및 보존하고 지방문화 축제, 문화교육, 생활문화예술 활성화 사업을 전개해 나가는 공간이다. 1987년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라 설립되어 개원한 연천문화원은 1999년 현재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문화원은 향토전시관과 강의실, 회의실, 도서관∙자료실, 강당∙극장, 전시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행사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으로는 사물놀이, 한국무용, 연희단, 규방공예 등의 전통강좌와 실버댄스, 우쿠렐레, 아코디언 등의 일반강좌가 있으며, 미수문화제, 미수문화제 서예대전, 경기도민속예술제, 삼일절 기념행사, 구석기 축제 문화봉사 활동, 문화탐방 등 다양한 문화행사도 개최하고 있다.
1호선 연천역에서 차량으로 약 3분, 연천공영터미널에서 약 1분 및 도보 9분(595m) 소요된다. 인근에 고대산자연휴양림, 한탄강유원지, 한탄강관광지 오토캠핑장, 연천전곡리유적, 전곡선사박물관, 재인폭포, 포천신북리조트스프링폴온천, 포천허브아일랜드 등이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카라솔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carasol__/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로 217 고인돌빌딩
카라솔은 경기 연천군에 위치한 인스타 감성이 충만한 감각적인 카페로 카라솔 간판 바로 오른쪽에 출입문이 있다. 유리문 옆에는 포토존도 있다. 커피와 차, 논커피와 향긋한 베이커리로 메뉴가 구성되어 있다. 카라솔의 마스코트인 강아지 용이와, 용이를 닮은 인형들이 곳곳에 위치해 있어 세련된 인테리어에 포근함을 더해준다. 방마다 다른 듯 통일된 분위기로 넓은 공간이 더욱 다채롭다.
⊙ 연천수레울아트홀
- 홈페이지
https://yccs.or.kr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문화로 150
연천공설운동장 내에 있는 연천수레울아트홀은 연천 시민의 여가와 문화생활 증진을 위해 개관하였다. 수레울은 차탄[車灘]의 순우리말로 도당골에 은거하던 고려진사 이양소를 만나기 위하여 연천으로 친행하던 태종의 어가가 여울을 건너다 빠졌다 하여 수레울이라는 지명이 붙었는데, 연천수레울아트홀은 옛 지명을 사용하여 역사적 유래와 의미를 담았다.
연천수레울아트홀은 550명(휠체어석 5석 포함)수용가능한 대공연장과 166명(휠체어석 3석 포함) 수용가능한 소공연장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연천수레울아트홀은 3층 건물로 1층에는 안내데스크와 사무실, 평생교육실, 워크숍룸, 고객누리방, 수유실, 분장실, 대연습실 등의 편의시설과 부속시설이 있고, 2층에 매표소와 음향조정실, 대공연장 1층 객석, 소공연장, 3층에 대공연장 2층 객석, 분장실, 무대 기계실 등의 공연시설을 갖추고 있다.
대공연장과 소공연장에서는 각종 문화행사 및 영화 상영, 공연, 연주회 등이 수시로 개최되며, 공연이 없더라도 1층 로비에서는 미술전이 열리고, 야외에는 2013 한탄강 현대 야외조각 흐름전에 출품되었던 작품들이 있는 조각공원과 우리나라 지도가 양각되어 있는 분수대가 있어 산책 삼아 찾을 만하다.
은현IC에서 차량으로 약 17분, 경원선 연천역에서 약 3분 소요되며, 역에서 인근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 인근에 고대산자연휴양림, 백마고지, 연천역고드름, 노동당사, 열쇠전망대, 동막골유원지, 두루미테마파크, 재인폭포(한탄강 국가지질공원), 한탄강∙임진강 주상절리, 연천전곡리유적, 연천 호로고루, 연천고랑포구역사공원 등이 있다.
⊙ 연천향교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iyc21net/222197232408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지혜로117번길 20 (차탄리)
연천향교는 향토문화재 제2호 지정된 연천군을 대표하는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이다. 연천향교는 1398년(태조7년)에 읍내리 부근에 창건되었는데, 1658년(효종9년)에 1차례 이전하였고, 한국전쟁 중 전소되어 1965년 차탄리 부근에 재건되었다가 도로공사로 인해 1989년 현재의 위치로 다시 이전되었다.
건물의 배치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형태이다.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매년 공자 탄신일(음력 8월 27일)에 공자를 기리는 석전제를 홀리고, 매월 음력 1일과 15일에 분향하는 제사의 기능과 함께 청소년 인성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교 1명과 장의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 상시 개방되고 있지 않다.
*주요 문화재
1) 대성전
2) 내삼문
3) 동재
4) 서재
5) 명륜당
6) 외삼문
7) 홍살문
⊙ 임장서원
- 홈페이지
https://www.yeoncheon.go.kr/tour/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로25번길 170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학문연구와 선현제향을 위하여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인 동시에 향촌자치운영기구였다. 임장서원은 조선 중기 중종 때 임계중[任繼重; 1418~1544]이 정계를 은퇴하고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하기 위해 건립한 무이정사[武夷精舍]를 모태로 하여 창건되었다. 이후 1700년(숙종 26)에 주자서원[朱子書院] 창건하여 주자의 위패를 모셨다.
(출처 : 연천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 동막골유황천
- 홈페이지
https://www.동막골유황천.kr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로25번길 181
경기도 연천에 위치한 웰빙건강 가족레저타운 찜질방이다. 초대형 시설 9,900제곱미터 규모로 680미터에서 나오는 온천수인 청정자연수와 최고 시설을 자랑한다. 인근 군부대의 신병교육수료자와 가족들이 편해 지낼 수 있는 편의시설이 있다. 동막사거리에서 연천교차로 방향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주차는 무료이다. 소금방 황토방 등 다양한 찜질방과 대형 탈의실이 있으며 노래방과 책 코너도 갖추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성남시] 만강 (0) | 2025.02.07 |
---|---|
[경기도 가평군] 공덕갈비 (0) | 2025.02.06 |
[경기도 화성시] 카페 부부스 (1) | 2025.02.04 |
[경기도 연천군] 전곡역 새마을회관 (0) | 2025.02.04 |
[경기도 파주시] 벙커힐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