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도

[경상남도 진주시] 수복빵집

728x170

수복빵집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1088번길 8 (평안동)

경남 진주시 중앙시장 인근에 위치한 '수복빵집'은 팥물을 부어 먹는 단팥빵으로 알려진 오래된 찐빵 전문점이다. 1947년에 개업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팥소가 들어간 찐빵에 묽은 팥죽을 끼얹어 제공하는 독특한 방식이 특징이다. 이곳의 찐빵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보다 크기가 작고 식감이 부드러우며, 단맛이 과하지 않은 팥 고명을 사용해 담백한 맛을 낸다. 전통적인 조리 방식과 단정한 구성으로 지역 고유의 맛을 유지하고 있다. 인근에는 중앙시장과 법원 등 주요 생활권이 위치해 접근하기도 편리하다.

 


※ 소개 정보
- 대표메뉴
찐빵

- 문의및안내
055-741-0520

- 쉬는날
[6~10월]
- 매월 둘째, 넷째 화요일
[11~5월]
- 매주 화요일

- 영업시간
12:00~17:00
※ 재료 소진 시 마감

- 주차시설
불가능

- 취급메뉴
꿀빵 / 단팥죽 / 팥빙수





◎ 화장실
있음





경상남도_진주시_수복빵집_내부경상남도_진주시_수복빵집_내부_01경상남도_진주시_수복빵집_음식_04경상남도_진주시_수복빵집_음식_05





◎ 주위 관광 정보

⊙ 천수식당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향교로8번길 3

진주에 위치한 비빔밥과 석쇠 불고기 전문점 천수식당이다. 메뉴로 국내산 한우가 들어간 비빔밥, 불고기, 육회가 있다. 비빔밥 주문 시 콩나물과 무가 들어간 매콤한 선짓국이 함께 제공되며 불고기는 조리되어 접시에 담겨 나온다. 중앙시장 내 육회 맛집으로 소문난 식당이다. 석쇠불고기는 특유의 불향과 더불어 짭조름한 맛이 입맛을 자극한다. 맛있지만 가격까지 착한 육회비빔밥이다. 육회 비빔밥은 반찬과 같이 나온 선짓국에서 고수의 향기가 난다. 반찬들이 정갈하면서 소박하고 비빔밥과 잘 어울린다. 육회를 저렴하게 포장해갈 수 있다. 별도의 주차장이 없어 인근 유료주차장에 주차할 수 있다. 진주시 전통예술 회관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 천황식당

- 천황식당
055-741-2646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촉석로207번길 3

진주 시내 중앙시장 안의 사거리에 위치한 ‘천황식당’은 1927년에 문을 열어 3대째 영업을 하고 있다. 재래시장 안에 위치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에 편리하지만 가게 앞 주차는 조금 까다롭다. 그래서 외부에 별도의 전용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식당 구조는 100여 평의 목조 와가에 널따랗게 장독대들이 늘어져있어 향토전통음식점의 특색을 잘 드러내고 있다. 업소의 주메뉴는 3가지 반찬과 선짓국이 곁들여져 나오는 진주의 대표적인 음식 전통 진주비빔밥과 숯불에서 갓 구워낸 석쇠불고기이다.

⊙ 제일식당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중앙시장길 37-8

진주의 오래된 맛집은 중앙시장 부근에 많이 있는데 제일식당도 그중 하나이다. 중앙시장 먹거리 상가에 있는 작은 점포지만 진주식 육회비빔밥과 국밥, 가오리무침, 육회로 유명한 곳이다. 진주식 비빔밥은 익힌 나물을 잘게 썰어 먹기 편하게 만든 다음 그 위에 육회를 넣어 같이 비벼 먹는다. 선짓국을 곁들여 먹으면 별미다. 막걸리 안주로 많이 찾는 가오리무침은 시장을 찾는 단골들에게 인기 메뉴다. 식사 후 산책삼아 시장을 둘러보는 재미도 있다.

⊙ [백년가게]하동집


- 하동집
055-741-1410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진양호로 553 (대안동)

하동집은 진주 중앙시장에 위치하고 있는 60년 전통의 복국 전문점이다. 시원하고 맑은 국물 맛으로 시장을 찾는 손님들뿐만 아니라 하동집의 복국을 맛보러 일부러 찾아오는 손님도 많다. 복수육, 아구수육은 간장과 초장에 찍어먹는 맛이 별미다. 그 외 메뉴로 복수육, 아구수육, 아귀찜 등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어 취향껏 메뉴선택이 가능하다. 매장 내부에는 단체석이 있어 모임이나 회식 장소로도 좋은 식당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연화사(진주)


- 홈페이지
진주관광 https://www.jinju.go.kr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향교로42번길 13

1923년에 세워진 연화사는 수정산(일명 금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며 고성 옥천사의 포교당이었으나 지금은 제12교구 본사 합천 해인사의 포교당이다. 보살들의 수행정진 도량으로 유명한 이곳은 초창기부터 여러 큰스님이 주석하며 수행 가풍으로 항상 30명 정도의 보살들이 정진을 계속하고 있는데 그 정진의 정도가 하도 깊어 스님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라고 한다. 연화사 도량에 가면 부도가 2기 있는데 스님의 것이 아닌 보살의 부도이다. 이 부도는 이곳에서 공부한 보살들이 입적하면서 남긴 정진의 결과물인데 공부의 깊이가 상당했을 뿐 아니라, 불자들의 귀감이 되어 이곳에 모셨다고 한다. 사찰의 상단에는 대웅전과 범종각, 요사채, 선방 등 종교 건물을 일자로 배치하고 하단에는 종무소, 유치원과 놀이터 등 부대시설을 배치하였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평면에 팔작지붕의 목조와가이며 화려한 단청이 시문되어 있으며 안에는 석가여래삼존상이 모셔져 있다.

⊙ 하동복집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진양호로 553

하동복집은 경남 진주 중앙시장 안에 자리한 복국과 아구 요리 전문점으로, 7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곳이다. 오랜 세월 동안 한결같은 맛과 정성으로 손님들의 사랑을 받아왔으며, 대표 메뉴로는 시원하고 담백한 복국이 있으며, 깊고 깔끔한 국물 맛이라 해장 음식으로도 인기가 높다. 또한 복수육, 아구찜, 아구내장탕 등 다양한 복어와 아구 요리를 선보이며, 깔끔하고 편안한 분위기이기 때문에 누구나 편안한 식사가 가능하다. 방송에도 소개된 적이 있으며 현지인과 관광객이 모두 많이 방문하는 곳이다.

⊙ 어원초밥


- 어원초밥
055-743-5876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진양호로532번길 14

어원초밥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일본 음식문화가 접목된 전문 일식집으로서, 신선한 활어회와 초밥을 즐길 수 있는 식당이다. 초밥부터 회 코스, 탕 요리까지 다양한 생선 요리를 맛볼 수 있는 맛집이다. 싱싱하고 쫄깃한 식감의 신선한 회와 정갈하게 나오는 반찬은 손님들을 만족시킨다.

⊙ [백년가게]중앙집


- 중앙집
055-741-5496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673번길 6

진주시에 위치한 중앙집은 SBS <생활의 달인>에 출연한 초밥 백반 맛집이다. 30년 이상 명맥을 유지하면서도 오래도록 고객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와 중소기업벤처부에서 백년가게로 선정하였다.
중앙집은 모듬초밥, 생선초밥, 새우초밥, 유부초밥, 매운탕, 오뎅백반 등의 메뉴가 있다.

⊙ 리조 세계재봉틀박물관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geobuk21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1029 (동성동)

이일승, 조경련 관장이 수십 년간 세계 곳곳에서 수집한 재봉틀과 관련 부속품을 한데 모은 세계재봉틀박물관&공방이다. 전국 최초로 전 세계에서 수집한 앤틱 재봉틀 400여 점 중 250점과 반짇고리 등 관련 부속품 200여 점 등을 먼저 선보이고 있으며 전시된 제품들은 재봉틀이 발명된 1800년도 초부터 현대까지 유럽, 미국,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 것으로 그 기능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갖추어져 있다. 오래된 재봉틀도 많고 1800년대 후반기 영국에서 만들어진 ‘타비타(Tabitha)’라는 제품도 있고 ‘싱거 2번(Singer No2)’이라는 제품은 뉴욕에서 1852~1878년 사이에 만들어졌으며 일련번호(362494)가 적혀 있다. 1920~1940년 사이에 만들어진 어린이용 재봉틀도 있고, 일반 의류용, 카페트용, 말안장용, 신발용, 가죽제품용, 어린이용 등의 각종 재봉틀은 물론, 반짇고리, 바늘, 다리미, 실패, 가위, 골무, 오일 캔, 의류 패턴, 홍보 포스트, 매매 계약서, 제품설명서 등 재봉틀과 관련한 부속품 200여 점도 함께 선보인다. 우리나라 제품으로는 1962년도 농림부 장관상으로 마을에 증정한 ‘드레스 미싱’이 자리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진주성, 촉석루, 진주박물관, 창렬사, 경남문화예술회관, 진주유등체험관과 인접한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함께 관광하면 좋은 곳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